2025년 7월 8일 기준으로 주요 국제 원자재 — 에너지(유가·천연가스), 철강(철광석·열연 등), 비철금속(구리·알루미늄·니켈·금·은·귀금속 등), 펄프 시장의 최신 시세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정리했습니다. 투자자, 무역업자, 산업 종사자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공유해드리니 끝까지 함께 해주세요.
실시간 국제원자재 가격 조회하기
한국무역협회 원자재 시장 정보 페이지에서는 에너지, 금속, 농산물 등 주요 원자재의 실시간 시세, 일간·주간 시황, 가격 모니터링 등을 한눈에 제공합니다. 이 자료는 웹 기반이며 회원 로그인 후 더 세부 내역(거래소별 가격, 거래 단위, 인도월 등)도 조회할 수 있으며, API 및 엑셀 다운로드 등 기능도 지원됩니다.
또한, 모바일앱인 Smart KITA(스마트키타)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 환율과 국제원자재 동향을 확인할 수 있어 PC와 모바일 모두 이용 가능합니다. 실시간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무역 실무자나 투자자들이 시장 변동성을 즉시 파악하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글로벌 원자재 시장 동향 (2025년 7월 8일 기준)
• 국제유가 (두바이유, 브렌트유, WTI)
-
두바이유 현물: 7월 7일 기준 69.45 USD/bbl → 전일 대비 ▼0.49% 하락, 최근 69.53 기록
-
브렌트유: 7월 8일 69.36 USD/bbl, ▼0.22 USD (~0.3%)
-
WTI: 67.66 USD/bbl, ▼0.27 USD
📉 하락 요인: OPEC+ 8월 증산(+54.8만 BPD), 미국의 대외 관세 압박
1. 2025년 7월 8일 에너지 가격
- 액화천연가스 (LNG): 한국 수입가 558.19 USD/ton, 월간 ▼5.61% (–34.17)
- 연료탄 (Global Coal Index): 호주 뉴캐슬 기준 109.85 USD/ton, 주간 ▲0.90% (+0.98)
- 제철용 원료탄: 호주 FOB 178 USD/mt, 일간 ▲1.14% (+2)
2. 2025년 7월 8일 철강 및 철광석 가격
- 철광석 62% Fe (CFR 북중국): 94.90 USD/mt, 일간 ▼0.84% (–1.8)
- 열연코일 (3.0×4×8mm, 한국 도매): 843,200 KRW/ton (월간)
- 고철 생철 (서울 도매): 395,000 KRW/ton, 월간 ▲6.76% (+25,000)
- 핫롤드 스틸 HRC: 882 USD/ton (7월 7일), ▼0.11%
3. 2025년 7월 8일 비철금속 가격
- 전기동 (Copper): LME 현물 9,893 USD/ton, 일간 ▼78.5 (-0.78%)
- 3개월물은 9,819 USD → 재고 97,400톤 - 알루미늄: 2,566 USD/ton, ▼21 (-0.81%)
- 니켈: 14,920 USD/ton, ▼200 (-1.32%)
- 아연: 2,672 USD/ton, ▼42 (-1.55%)
- 납: 2,013 USD/ton, ▼28 (-1.37%)
🟡 코퍼 가격 현황:
-
LME 현물 기준 9,893 USD로 소폭 조정
-
글로벌 수요 둔화 우려 속, 미국 내 관세 정책·재고 상태가 가격 변동성 촉발
2025년 7월 8일 귀금속 가격
4. 2025년 7월 8일 펄프 국제 시세
- 나프타 (일본 C&F): 580 USD/MT, 주간 ▲0.17% (+1)
- 에틸렌 (한국 FOB): 810 USD/MT, 주간 ▲1.89% (+15)
- 펄프 SBHK (한국 고시가): 645 USD/ton, 월간 ▼4.44% (–30)
- OCC 폐골판지 (한국 국내가): 88.70 KRW/kg, 월간 ▲8.30%
📊 2025년 7월 8일 원자재 시장 요약
섹터 | 최근 흐름 | 주요 요인 |
---|---|---|
유가 | 소폭 ↓ | OPEC+ 증산·미국 관세 우려 |
LNG | 큰 폭 ↓ | 수요 둔화·한국 수입가 조정 |
철광석·원료탄 | 안정세 | 중국 수요 조정·환경규제 등 |
비철금속 | 혼조세 | 미국 관세정책·재고 동향 |
펄프·폐지 | 펄프 ↓, 폐지 ↑ | 글로벌 수요 변화·중고재 수급 |
전문가 코멘트 (최신 뉴스 인용)
-
국제유가: “OPEC+가 계획한 증산 규모가 예상보다 크다… 단기 수급 불균형은 불가피하지만, 미국·인도의 수요는 견조하다”
출처: Reuters, Oil prices ease as traders assess US tariffs, OPEC+ output hike, 2025년 7월 8일 보도 -
철광석: “싱가포르 기준 철광석 $95.25로 안정세 유지… 중국 철강 수요 둔화에도 재고·구매 리스크 완화”
출처: Reuters, “Iron ore stays calm amid China uncertainty, US tariff turmoil”, 2025‑07‑08. -
구리(Copper): “골드만삭스, 3·6·12개월 LME 구리 전망을 각각 $9,600·10,000·10,700으로 유지… 관세가 단기 시장을 안정시킬 것”
출처: Reuters, Goldman maintains copper price forecasts, says tariffs will avert US glut, 2025년 3월 26일 보도
시장 해설 및 전망
글로벌 경기 둔화와 보호무역 강화(미·관세)가 에너지·금속 전반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 중.
중국 철강 생산량 조정, 인프라 투자 지연 등도 철강·비철금속에 하방 압력 제공.
반면 유럽·미국 내 친환경 정책 확대는 비철금속 수요는 장기적으로 지지.
📉 "환율과 원자재 가격: 서로 얽힌 경제의 두 축"
2025년 7월 8일 국제원자재가격 정보 요약
- 에너지·철강 업종: 단기 리스크 헤지 필요.
- 비철금속 투자자: 관세 발표 시점·재고 동향 주시.
- 펄프·종이 산업: 밸류체인 조정 통해 수익성 관리.
0 댓글